4. 리턴펌프
본항과 섬프의 물을 교환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펌프가 리턴펌프입니다. 본항이 섬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하단섬프형 수조에서 리턴펌프는 하단섬프의 물을 본항으로 올려주는 역할을 하고, 내부배면섬프나 외부배면섬프처럼 본항과 섬프가 같은 높이인 구조에서는 리턴펌프가 본항의 물을 섬프로 끌어당겨오는 역할을 하죠. 하지만 결국 둘 다 본항과 섬프간의 물을 교환하는 기능은 같습니다.
리턴펌프를 선택할 때는 시간당 출수 유량과 양정값을 확인해야 합니다. 양정은 펌프가 물을 뽑아올릴 수 있는 높이를 말하며, 제조사는 펌프별로 양정값을 표시해 놓고 있습니다. 양정값은 본항과 섬프의 높이가 같은 배면섬프에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고, 하단섬프가 본항의 아래쪽에 위치한 구조에서 확인해야 할 개념으로 본항과 섬프간의 높이차가 크게 난다면 리턴펌프가 하단섬프에서 본항으로 물을 밀어올려주는 힘이 약해서 섬프와 본항간의 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본항의 산소 공급과 수질 개선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리턴펌프의 용량은 본수조의 물량을 시간당 6~7회 회전시킬 수 있는 수준을 권장하고, 가로x세로x높이가 모두 45cm인 45큐브 수조 기준일 경우 물량이 약 90리터 수준이므로 이론적으로 시간당 600~700 리터를 처리 가능한 리턴펌프를 선택하면 되지만, 하단섬프의 경우 본항으로 물을 퍼올려야 하기 때문에 처리용량보다 30% 더 높은 출력의 리턴펌프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물량 90 리터 45큐브의 경우 700리터의 30% 더 높은 리턴을 선택하면 되겠고 이 경우 시간당 900~1000리터 처리가 가능한 리턴모터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네요.
5. 프로틴 스키머
프로틴 스키머(Protein Skimmer)란?
해수항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생성됩니다. 보이지 않는 미생물에서부터 산호, 해수어까지 배설물을 수조에 배출하고, 죽은 생물의 사체나 먹다 남은 사료가 시간이 지나 부패하면 맹독성을 띤 암모니아(NH3)나 아질산으로 바뀌면서 수조 내에 서식하는 해수어들에게 치명적인 암모니아 중독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하게 됩니다.
대자연의 바닷속에서는 수많은 미생물들 존재하기 때문에 배설물이나 사체를 빠른 시간 내에 분해할 수 있지만 좁디 좁은 수조에서는 미생물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암모니아나 아질산에 쉽게 노출됩니다. 스키머는 배설물 등이 암모니아나 아질산으로 화학변화를 하기 전에 물리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질 안정화를 도모하는 장치입니다.
스키머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니들휠이라고 하는 핀이 촘촘하게 박힌 원판을 모터에 달아서 수조 내에서 빠르게 모터를 회전시키면 니들휠이 수없이 많은 미세기포를 생성하게 되고, 발생된 미세기포는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수면 위로 뭉쳐서 올라가게 되고, 뭉친 미세기포는 거품 형태로 스키머의 컬랙션 컵으로 넘어감으로써 오염물질을 수조 외부로 강제 배출하게 됩니다.
6. 해수염
해수항의 물을 바닷물과 같은 성분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산호들의 성장을 위한 필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특수한 소금입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켄트, 레드씨, 오셔닉, 인스턴트 오션, 리프 크리스탈 등이 있습니다. 소금에 따라 조금씩의 성분차이는 있지만 앞에서 언급된 모든 소금들은 산호를 키우기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7. 수류모터
민물수조와는 다르게 해수항에서 사육하게 될 생명체들은 열대바다의 거칠고 상시 다양한 방향으로 요동치는 다이나믹한 수류환경속에서 자랐습니다. 그러한 바닷 속 환경과 비슷한 수류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 수류모터입니다. 수류모터 역시 전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브랜드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죠. 대표적인 제품들은 에코텍 마린의 볼텍, 제바오의 SW, 멕스팩트의 자이어, 시세 나노 등이 있습니다.
8. 히터, 냉각팬, 온도조절기
다음 장에서 언급하겠지만 해수항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항상성입니다. 일정한 온도, 일정한 염도, 일정한 알칼리니티가 유지되는 수조에서는 모든 생물들이 스트레스 없이 성장하고 번식까지 가능하게 됩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해 주는 것이 히터, 냉각팬, 온도조절기입니다.
온도조절기에는 수조의 온도를 올릴 때 동작하는 히터와 수조의 온도를 내릴 때 동작하는 냉각팬의 전원을 꽂을 수 있는 2개의 콘센트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상시 유지를 희망하는 온도를 설정해 놓으면 설정값보다 수조의 온도가 높은 경우 냉각팬을 가동시켜 희망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온을 떨어뜨리고, 설정값보다 수조의 온도가 낮으면 희망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를 동작시켜 희망 온도에 도달할 때가지 수온을 올립니다. 그럼으로써 수조 내 생물들이 급변하는 온도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이죠.
9. 염도계
바다의 염도는 1.022 퍼밀이라고 배운 기억이 나네요. 하지만 지역에 따라 염도는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겠죠. 우리의 해수항도 약간씩 염도의 차이가 나겠지만, 산호항의 경우 1.022 이상 1.027 이하에서만 유지된다면 산호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습니다. 산호 전용이라면 1.026 을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고 싶네요. 이렇게 수조의 염도를 측정하고, 환수시 소금물의 농도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염도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염도계의 종류에는 스윙암식 염도계, 굴절식 염도계, 전자식 염도계가 있고 보통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한 굴절식 염도계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스윙암식 염도계의 경우 오차율이 높아서 잘 추천하지 않습니다.
10. 보충수통
24시간 본항과 섬프간의 물 교환시에는 많은 수분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수분이 증발할 때는 미네랄 성분을 제외한 순수 물분자만 증발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없다면 시간이 갈수록 수조의 물의 염도는 높아지게 되죠. 그래서 순수 물이 증발한 만큼 소금물이 아닌 민물을 보충시켜줘야 수조의 염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가 있는데요, 이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보충수통입니다. 보충수통은 볼탑과 수통의 2가지 구성품으로 조합되어 있고, 수분이 증발한 만큼 자동으로 민물을 수조에 흘려내려줌으로써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11. 측정시약
해수수조는 다양한 미네랄들이 녹아있고 그 중 상시 그 농도나 수치를 확인해야 할 중요한 항목들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염도 외에도 알칼리니티(dKH, 탄산경도), pH, 칼슘, 마그네슘, 질산염, 인산염 등이죠. 특히 알칼리니티는 해수항에서 가장 중요한 수치로 수조의 환경에 따라 변동폭이 매우 크고 수치 변동에 따라 생물이 받는 영향도 매우 크기 때문에 상시 체크해야 할 항목입니다. 그 외의 항목들은 나중에 별도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2. 기타 고급장비
1) 칼슘리액터
산호의 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성분인 칼슘을 일정 농도로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산호항의 경우 칼슘리액터를 장착하면 안정된 산호의 성장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칼리니티도 일정하게 유지시켜줍니다.
2) 도징기
각종 미네랄이나 첨가물을 일정한 용량과 주기로 수조에 자동으로 투여하도록 해주는 장비입니다. 주로 칼슘용액, 마그네슘 용액, 알칼리니티 상승을 위한 베이킹 소다 용액 등을 주입하는데 쓰입니다.
3) RO/DI 정수기
일반 수돗물에는 수조 내 이끼의 먹이원이 되어 이끼생성을 유발하고 산호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질산염과 인산염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수염일 녹일 때나 보충수를 투입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쓰지 않고 RO/DI 정수기를 통과시켜 질산염과 인산염을 제거함으로써 이끼창궐을 막고 산호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원수통제라고 하죠. TDS 미터는 물 속에 들어 있는 질산염이나 인산염 등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측기입니다. 보통 RO/DI를 통과한 물은 TDS 수치가 0으로 확인되고, RO/DI를 통과하지 않은 수돗물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TDS 수치가 100 내외로 확인됩니다.
'자린고비의 특별한 취미 > 니모와 산호어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양산/김해/진해 산호 프렉 나눔합니다 (0) | 2021.02.04 |
---|---|
2020년 말 산호어항의 위기 (0) | 2020.12.23 |
Ecotech Marine Radion 수리하기 #1/ G1부터 G3까지 LED 칩 제원 - Reef Central (0) | 2020.09.17 |
산호어항 시작하기 (0) | 2019.10.08 |
니모 키우기 시작하기 & 해수항에서 산호 키우기 (0) | 2019.10.03 |